“직업교육은 늘 꿈만 꾸던 기회였는데, 서울시 기술교육원 덕분에 현실이 됐어요.”
제 동생 준호(28세)는 6개월 전 실직 후 재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습니다. 유망한 직업으로 전환하기엔 비용과 시간 부담이 컸죠. 그런데 이번 서울시 기술교육원 모집 소식을 듣고, 지원을 결정했습니다.
서울시가 마련한 2025년 하반기 기술교육원 통합 운영 첫 모집, 총 1,836명에게 실무 중심 직업훈련을 무료로 제공합니다. AI부터 자동차, 승강기, 요양보호사 실무까지 다양한 과정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7월 11일(금)부터 8월 15일(금)까지 방문 또는 온라인으로 신청 가능하니, 놓치면 안 될 기회입니다.
1. 왜 이 교육원이 특별한가? – 지원 배경 & 문제 해결
- 과거 용산·노원·강동·군포 캠퍼스로 분산 운영되던 교육원을 하나로 통합, 자원 공유와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했습니다..
- 서울시는 산업 변화에 대응 가능한 실무 인재 양성을 목표로 2027년까지 3대 정책, 7대 과제를 추진합니다.
- 준호는 “분산되어 지원이 어려웠던 훈련 과정이 한 곳으로 모여 신청과 수강이 훨씬 편해졌다”고 했습니다.
2. 대상자는 누구인가요? – 참여 대상 & 조건
- 만 15세 이상 서울시민 또는 서울 거주 외국인 영주권자, 결혼이민자 및 그 자녀.
- 별도 연령·학력 제한 없이 실무 역량 향상을 원하는 누구나 신청 가능.
- 신입·중장년·취업준비생·재취업자 모두 참여 대상입니다.
3. 어떤 과정을 지원하나요? – 과정 안내
이번 하반기에는 총 73개 과정, 1,836명을 모집합니다.
- 정규 주간과정 (5개월): 63개 학과, 1,617명 – 방송영상, UXUI, 패션, 항공정비 등 다양
- 정규 야간과정 (6개월): 29개 학과, 727명 – 글로벌조리, 컴퓨터그래픽디자인 외 다수
- 단기 실무특화과정: 10개 학과, 219명 – AI 활용, 자동차썬팅·광택, 스마트 승강기, 요양보호사 등.
- 온라인 산업안전관리: 북부캠퍼스, 500명 대상.
4. 지원 내용이 어떤가요? – 혜택 총정리
- 교육비 전액 무료: 수강료, 실습비, 교재비 전부 무료입니다.
- 국가기술자격 시험 기능 검사비 지원.
- 식사 제공: 하루 5교시 이상 시 무료 식사 포함.
- 취업·창업 연계: 수료 후 서울시‧일자리센터와 협업한 맞춤형 컨설팅 지원.
5. 어떻게 신청하나요? – 절차 안내
- 모집 기간: 2025년 7월 11일(금) ~ 8월 15일(금).
- 접수 방식:
- 방문 접수: 각 캠퍼스 사무실(월~금 9시~18시)
- 온라인 접수: 기술교육원 누리집 또는 이메일, 팩스 가능
- 전형 절차:
- 1차: 서류전형 (50점)
- 2차: 개별 면접 (50점)
- 선발 기준: 훈련동기, 학과 적합성, 실수요자 중심 선발.
- 접수 방법 요약: 이력서, 자기소개서, 주민등록등본 등 준비 → 원하는 캠퍼스 또는 온라인 제출.
6. 실제 사례—준호의 변화
준호는 올해 AI 활용 단기 과정을 신청해 컴퓨터 프로그래밍 기초를 익혔습니다. 수료 후에는 이력서를 보강해 하반기 취업 준비에 자신이 생겼다고 합니다.
그는 “실습 중심 수업 덕분에 자신감을 얻었고, 직업훈련이 이렇게 다르다는 사실에 놀랐다”고 전했습니다. 작은 변화가 큰 기회로 이어졌습니다.
7. 주의사항 – 꼭 확인하세요
- 신청 기간이 엄격합니다: 8월 15일 이후에는 접수 불가.
- 지원자는 반드시 자격증명서 등 필수자료 준비.
- 불성실한 지원 시 향후 선발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 문의는 해당 캠퍼스로 직접 하셔야 빠릅니다.
8. 꿀팁 모음
- 같은 학과 여러 지원 희망자는 미리 캠퍼스와 문의해 인원 현황 확인하세요.
- 서류 작성이 서툴다면, 주민센터나 창업지원센터에서 무료 컨설팅 받을 수 있습니다.
- 온라인 접수 시, 접수 메일과 전화 확인을 꼭 병행하세요.
- 교육 수료 후, 서울시 일자리센터 ‘1대1 맞춤 취업 지원’ 프로그램도 활용하세요.
9. 왜 지금 꼭 지원해야 하나요?
서울시는 분산 운영의 비효율을 해소하고, 실무 중심 훈련으로 재취업·전직의 허들을 낮추는 계기로 삼고자 통합 구조를 만들었습니다.
실제 훈련생들은 교육 퀄리티와 취업 연계 지원에 만족감을 보이고 있으며, 이번 기회를 통해 경력 전환에 성공하는 사례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 문의처
- 중부캠퍼스 (용산구 한남대로 136) 02-361-5800 ☞누리집
- 동부캠퍼스 (강동구 고덕로 183) 02-440-5500 ☞누리집
- 북부캠퍼스 (노원구 덕릉로70가길 81) 02-2092-4700 ☞누리집
- 남부캠퍼스 (경기도 군포시 고산로 589) 031-390-3920 ☞누리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