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청기는 비싸서 포기했어요.”
“할머니가 귀가 어두우신데, 보청기 가격이 너무 부담스러워요.”
이런 이야기를 주변에서 많이 들어보셨을 거예요.
실제로 보청기 한 쌍 가격은 평균 150만 원~400만 원대,
고가 제품은 500만 원을 넘기도 하죠.
그런데… 정부에서 이걸 지원해준다고 하면 믿으시겠어요?
실제 제 지인 ‘진호’ 씨의 아버지는
청각장애로 진단받고도 몇 년 동안 보청기 구매를 망설이셨습니다.
그러던 중, 국가 보청기 지원제도를 알게 되어
실질적으로 10만 원대에 최신 보청기를 맞추는 데 성공했어요.
오늘은 그 리얼 경험을 토대로,
보청기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방법, 자격, 주의사항, 꼭 챙겨야 할 팁까지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드릴게요.
🦻 보청기, 정말 국가에서 지원해주나요?
정답은 YES!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을 통해
청각장애인 등록이 된 분들에 한해 보청기 구입비를 5년에 한 번씩 지원해줍니다.
대상 | 청각장애 등록자 |
금액 | 최대 1,317,000원 (2024년 기준) |
주기 | 5년마다 1회 지원 가능 |
조건 | 건강보험 가입자 or 피부양자, 보장구 등록 절차 완료 필수 |
👴 지인의 리얼 경험: 아버지 보청기, 이렇게 해결했다!
진호 씨의 아버지는 70대 후반.
몇 년 전부터 TV 소리가 커지고, 대화 중에 자꾸 “뭐라고?” 되물으셨습니다.
하지만 고가의 보청기를 사기엔 부담이 컸죠.
❗문제 상황
- 보청기 가격은 250만 원
- 진단서와 장애 등록 과정이 복잡하다고 느껴짐
- 본인부담금도 클 것 같다는 걱정
그러다 주변 노인복지관 상담을 통해
국가지원 보청기 제도를 알게 됐고,
지역 이비인후과와 구청 복지부서를 오가며
보청기 처방부터 보장구 등록, 구입까지 전 과정을 6주 만에 마무리했습니다.
결과적으로
👉 총 250만 원짜리 보청기를 구매했지만
👉 정부 지원금 131만 7천 원 + 제조사 프로모션 10만 원 할인
👉 실부담 108만 원 → 자녀 의료비 세액공제 활용으로 실부담 더 줄임!
📌 보청기 지원금 받으려면? 단계별 꿀팁 요약
✅ 1단계: 청각장애 진단받기
가까운 이비인후과에서 **청각검사(청력검사, 순음청력검사 등)**를 진행해야 해요.
검사 결과가 일정 기준을 넘으면, ‘청각장애 진단서’를 발급받습니다.
TIP: 청각장애 등록은 한쪽 귀 기준으로도 가능합니다.
경도 난청이라도 청력손실 정도에 따라 등록 가능하니 포기하지 마세요!
✅ 2단계: 장애인 등록 신청
진단서를 가지고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해 장애인 등록 신청을 합니다.
심사는 보통 4~6주 소요되며, 결과가 통보됩니다.
TIP: 주민센터에 사전 전화 예약하면 접수 시간 단축 가능!
필요 서류: 신분증, 진단서, 사진 2매 등
✅ 3단계: 보청기 처방전 받기
장애인 등록이 완료되면, 다시 이비인후과를 방문해
**‘보장구 처방전(보청기 처방전)’**을 발급받습니다.
이 처방전이 있어야 건강보험공단에서 보청기 지원금을 지급해줘요.
TIP: 처방전 유효기간은 발급일로부터 1년입니다.
✅ 4단계: 보청기 구매 및 확인서류 제출
의료기기 판매처에서 보청기를 구입한 뒤,
보장구 확인서를 작성하고, 처방전과 함께
건강보험공단 지사에 청구하면 됩니다.
보통 2~3주 내에 통장으로 지원금이 입금됩니다.
💡 이런 경우는 꼭 체크하세요!
❌ 지원금 대상이 아닌 경우
- 청각장애 미등록자
- 단순 노화성 난청으로 장애 기준 미달일 경우
- 5년 내 기존 보청기 지원 이력이 있는 경우
💸 부가 혜택도 챙기자!
- 보청기 세액공제 가능
→ 연말정산 시 의료비로 신고하면 세금 환급 받습니다. - 지자체 추가지원금
→ 일부 시·군·구는 별도로 10만~30만 원 추가 지원 중입니다.
예: 서울, 부산, 인천 일부 구청 등
🎯 보청기 구입 시 주의사항 & 팁
- 건강보험공단 등록된 판매처에서 구매해야 지원금 인정됩니다.
→ 사설매장에서 구입 시 지원 불가! - 보청기 1개 기준이므로, 양쪽에 필요하면 2개 구매해야 함.
→ 단, 지원금은 여전히 1개 기준(1,317,000원)만 지급! - 보장구 등록 브랜드 확인 필수!
→ 일부 해외 브랜드는 공단 인증 안 된 경우도 있음.
지인도 처음에 잘못 구매했다가 반품한 적 있음!
🙋 이런 분들은 꼭 확인하세요!
- ✔ 65세 이상 부모님이 귀가 잘 안 들리신다?
- ✔ 주변에 보청기 가격 때문에 고민하는 어르신이 있다면?
- ✔ 병원 방문이 어렵다면 복지관, 건강보험공단에 문의하세요.
- ✔ 난청이 있으나 지원 제도를 몰라 등록 못한 분들께 꼭 전달해주세요!
✨ 마무리: 보청기는 사치품이 아닙니다, ‘필수 건강권’입니다
많은 분들이 보청기를 사치품처럼 느끼고,
“소리 안 들리면 그냥 참고 살아야지”라고 생각하세요.
하지만 소리를 잃는 것은 세상과의 연결을 잃는 것입니다.
국가에서도 이 점을 알기에, 공적 지원을 통해 청각권을 보장하고 있는 거예요.
지인의 경험을 통해 저도 느꼈어요.
“정보만 알면, 지원은 이미 준비되어 있다”는 것을요.
혹시 지금 부모님이나 조부모님이 TV 볼륨을 자꾸 키우시나요?
지금 바로 청각검사부터 예약해보세요.
그 시작이 삶의 질을 완전히 바꿀 수도 있으니까요.